육아정보/젖먹이기

밤중수유-치아건강에 안좋은가?

피스메이커 2007. 6. 16. 05:15

이 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 꽤 많으시리라 봅니다.


예전엔 유치는 빠져버릴 이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지금은 영구치가 건강하기 위해서는 유치도 건강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해서리...


그래서 모든 분들이 문제라고 여기시는 게 바로 밤중수유죠?


제가 그점에 대해서 몇가지만 다시 말씀드릴께요.

(모유수유 공부방 게시판과 자주하는 Q&A 게시판의 지난 게시물에도 많은 내용이 나와 있지만...)


모유나 분유의 성분중 이를 상하게 하는 가장 대표적인 원인 물질은 유당이라고 합니다.


모유나 분유 모두 이 물질이 아주 많이 들어있죠.


근데 모유의 유당은 분유의 유당에 비해 치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아요.


왜냐..


모유의 유당이 뭐 특수한 유당이라 그러냐...


그건 아니구요.


환경적인 부분에서 치아에 영향을 안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모유는 분유와 달리 여러가지 항균 성분들과 같이 분비가 됩니다.

(모유에 들어있는 루테리 유산균 같은 경우엔 탄저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도 단방에 물리칠 만큼 강력한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다 하더군요)


그 항균 성분들 때문에 충치균들이 제대로 활동하지 못해요.

(충치는 일종의 세균성 질환이라고 합니다. 입안에 있는 세균이 치아에 남아있는 음식물을 분해할 때 나오는 산에 의해 치아가 삭는 거죠. 단음식이 직접적으로 치아를 어떻게 하진 않아요.)


그래서 분유의 유당은 충치를 잘 일으키지만 모유의 유당은 충치를 거의 일으키지 않습니다.


또 한가지 아주 중요한 점은 우리 아기들이 젖병을 물고 분유를 먹을 때와 젖을 물고 삼킬 때의 모습이 아주 다르다는 거죠.

(요건 생로병사의 비밀을 보신 분들이라면 잘 아실꺼에요. 모유수유 공부방 지난 게시물에도 그림이 있구요)


젖병을 물고 있을 때는 아기가 깊이 물지 않고 혀를 이용해서 먹는 양을 조절하므로 분유를 입에 머금고 삼키고를 반복합니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치아에 유당이 닿아 있는 시간이 길죠.


그렇지만 젖을 먹을땐 달라요.


젖을 제대로 깊이 물고 있는 상태라면 젖은 치아에 거의 닿지 않고 바로바로 목구멍으로 넘어 간답니다.


그러니 당연히 치아에 유당이 거의 닿지 않아요.


바른 자세로 수유를 하신다면 모유로 인한 충치 걱정은 접으셔도 됩니다.


단.... 밤중수유시엔 좀 주의 하시는게 좋아요.


아기가 젖을 물고 잠이 들면 젖이 좀 빠지면서 입에 젖이 오랫동안 고여 있을 수 있답니다.


아기가 잠이 들면 계속 젖을 물려두지 마시고 바로바로 젖을 빼주세요.


그게 충치 예방도 되고 또 아기의 바른 수면 습관에도 좋답니다.


이미 잠든 상태인데도 젖을 물려두다가 그게 습관이 되면 아기가 배고프지 않아도 입이 허전해서 자주 깨서 젖을 찾아요.

(아기가 정말 배가 고파서 하는 밤중수유라면 필요한 거지만 그게 아니라 그냥 습관이라 깨는 거라면 고쳐 주셔야하는 게 맞겠죠?)


마지막으로...........


설령 이러저러해서 치아에 충치가 생겼다 해도 젖을 끊진 마세요.


충치 때문에 젖을 떼는 건 정말 빈대 잡겠다고 초가삼간 다 태우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막말로 충치야 치료하면 되는거고 그게 안되면 유치 빼버리고 영구치 관리 좀 잘해주면 되지만(물론 치료도 힘들고 돈 듭니다. 그것도 많이...쩝 -_-;;) 모유가 주는 여러가지 장점들은 지금 이 순간 아니면 아기한테 영원히 줄 수 없는 거랍니다.


그 점 꼭 염두해 주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