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는 아기한테 물병도 물려보고 밤새 뜬눈으로 안고 달래보기도 하고
밤중수유 끊으려고 이런저런 시도 해보다가 실패한 경험들 다 한번씩 갖고 계실겁니다.
소아과 선생님들은 3개월 지나면 밤중수유 끊으라고 하는데요
젖먹이는 아가들의 밤중수유는 엄마나 아기에게 득이 됐으면 됐지 해가 되지 않는답니다.
아래 글 잘 읽어보시고 오늘 부터는 편한 마음으로 밤중수유 하세요.
Q. 밤에 푹 못자서 키가 안클까봐 걱정이예요.
A.
잠을 푹 자야 키가 큰다는건 상식이죠?
물론 급성장기에 있는 젖먹이 아기들도 잠을 푹 자야 체중도 늘고 키도 큽니다.
그래서 밤중수유를 끊으려고 하는 엄마들이 많은데요.
자다 깨서 먹이는 젖은 낮에 먹이는 젖과 성분이 달라서 성장인자가 더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그러니 밤중 수유가 아기의 성장을 저해할까 하는 고민은 하실 필요가 없어요.
대신 낮에 젖을 짜뒀다가 밤에 젖병으로 먹인다면 얘기가 달라지겠죠?
밤중수유 하시되 밤엔 꼭 엄마가 직접 젖을 물리세요.
Q. 이가 났는데 밤중수유 때문에 충치가 생기지 않을까요?
A.
젖은 혈액에서 만들어지는 체액의 일종입니다.
입에 침이 고여있다고 해서 충치가 생기지 않듯이 젖때문에 충치가 생기지는 않아요.
많은 분들이 밤중수유때문에 이가 상한다고 생각하는데
아기들의 충치는 대부분 낮에 이유식 먹인 후에 양치질을 잘 해주지 않았거나
수시로 먹이는 과자와 과일들 때문에 생깁니다.
Q. 밤에 자주 깨면 뇌발달을 방해한다는데 괜찮을까요?
A.
영유아기에 밤에 푹 자지 못하고 자주 깨면 뇌발달에 장애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밤중수유 때문에 아기가 자주 깬다고 해서 뇌발달을 저해하지는 않아요.
젖먹는 아기들이 분유 먹는 아기들 보다 평균 8-10정도 IQ가 높다는 얘기는 들어보셨죠?
모유에 포함된 양질의 DHA로 인해 뇌발달이 촉진되기도 하지만
젖을 빨면서 턱근육을 움직일때 뇌혈류량이 많아져서 뇌발달을 촉진시킨답니다.
그러니 아기들은 그냥 밤에 깨서 젖을 먹고 배를 채우는게 아니라
젖을 먹으며 끊임없이 뇌발달을 위한 운동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낮에 짜둔 젖을 젖병에 담아 먹이면 이런 잇점을 살릴 수가 없어요.
Q. 직장 다니면서 밤중수유 하기가 너무 힘들어요.
A.
낮에는 직장일로 밤에는 자주 깨는 아기때문에 많이 힘드시겠지만
직장맘들의 경우에는 더더욱 밤중수유가 필요합니다.
유축기로 축유해서 수유하는 경우에는 젖양이 필연적으로 줄게 돼있어요.
출근하기 전에, 퇴근하고 와서 아기에게 젖을 물리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유축해서 먹이는 엄마들은 밤중수유를 유지하셔야 젖양이 줄지 않습니다.
너무 피곤한 경우에는 엄마랑 아기가 같이 자면서 누워서 젖을 물리면
두 사람이 다 완전히 깨지 않는 가수면 상태에서 밤중수유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백일 이전의 아기는 아직 장기가 다 자리잡지 않은 상태이므로
푹신한 어른 침대에서 자는 것이 좋지 않으니까 바닥에 이불을 펴고 주무시는게 좋아요.
그리고 아기와 같이 자는 경우에는 엄마가 잠들어서 아기를 누르지 않도록 꼭 주의하시구요.
Q. 밤중수유를 하는 동안은 자연피임이 된다는데 정말인가요?
A.
통상적으로는 낮에 4시간 밤에 6시간 동안 수유가 없으면 생리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밤중수유를 계속 하면 생후 6개월 까지는 자연피임이 될 확률이 98%라고 하죠.
하지만 이 부분은 사람마다 다 다릅니다.
밤중수유를 계속 하더라도 월경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란이 될 가능성도 있으니
아직 계획이 없는 분들은 꼭 피임을 하셔야 합니다.
Q. 밤중수유는 언제 끊는게 정답인가요?
A.
밤중수유는 젖뗄 때 까지, 아기가 원할 때 까지 계속 하세요.
다만 월령이 높아지면서도 깨는 횟수가 너무 잦을때에는
자다 깨면 무조건 젖을 물리기 보다는 다독거려서 잠들 수 있게 달래보시기 바랍니다.
아기를 울려가며 배 곯려가며 끊으려고 하지 마세요.
어른도 배고프면 잠이 안오는데 아기는 오죽 하겠습니까.
다 아기 몸이 필요로 해서 젖을 찾는것이니까 엄마가 인위적으로 조절하려고 하지 마세요.
엄마가 푹 자지 못해서 피곤한 걸 제외하면 밤중수유는 전혀 해가 되지 않습니다.
밤중수유 끊으려고 이런저런 시도 해보다가 실패한 경험들 다 한번씩 갖고 계실겁니다.
소아과 선생님들은 3개월 지나면 밤중수유 끊으라고 하는데요
젖먹이는 아가들의 밤중수유는 엄마나 아기에게 득이 됐으면 됐지 해가 되지 않는답니다.
아래 글 잘 읽어보시고 오늘 부터는 편한 마음으로 밤중수유 하세요.
Q. 밤에 푹 못자서 키가 안클까봐 걱정이예요.
A.
잠을 푹 자야 키가 큰다는건 상식이죠?
물론 급성장기에 있는 젖먹이 아기들도 잠을 푹 자야 체중도 늘고 키도 큽니다.
그래서 밤중수유를 끊으려고 하는 엄마들이 많은데요.
자다 깨서 먹이는 젖은 낮에 먹이는 젖과 성분이 달라서 성장인자가 더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그러니 밤중 수유가 아기의 성장을 저해할까 하는 고민은 하실 필요가 없어요.
대신 낮에 젖을 짜뒀다가 밤에 젖병으로 먹인다면 얘기가 달라지겠죠?
밤중수유 하시되 밤엔 꼭 엄마가 직접 젖을 물리세요.
Q. 이가 났는데 밤중수유 때문에 충치가 생기지 않을까요?
A.
젖은 혈액에서 만들어지는 체액의 일종입니다.
입에 침이 고여있다고 해서 충치가 생기지 않듯이 젖때문에 충치가 생기지는 않아요.
많은 분들이 밤중수유때문에 이가 상한다고 생각하는데
아기들의 충치는 대부분 낮에 이유식 먹인 후에 양치질을 잘 해주지 않았거나
수시로 먹이는 과자와 과일들 때문에 생깁니다.
Q. 밤에 자주 깨면 뇌발달을 방해한다는데 괜찮을까요?
A.
영유아기에 밤에 푹 자지 못하고 자주 깨면 뇌발달에 장애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밤중수유 때문에 아기가 자주 깬다고 해서 뇌발달을 저해하지는 않아요.
젖먹는 아기들이 분유 먹는 아기들 보다 평균 8-10정도 IQ가 높다는 얘기는 들어보셨죠?
모유에 포함된 양질의 DHA로 인해 뇌발달이 촉진되기도 하지만
젖을 빨면서 턱근육을 움직일때 뇌혈류량이 많아져서 뇌발달을 촉진시킨답니다.
그러니 아기들은 그냥 밤에 깨서 젖을 먹고 배를 채우는게 아니라
젖을 먹으며 끊임없이 뇌발달을 위한 운동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낮에 짜둔 젖을 젖병에 담아 먹이면 이런 잇점을 살릴 수가 없어요.
Q. 직장 다니면서 밤중수유 하기가 너무 힘들어요.
A.
낮에는 직장일로 밤에는 자주 깨는 아기때문에 많이 힘드시겠지만
직장맘들의 경우에는 더더욱 밤중수유가 필요합니다.
유축기로 축유해서 수유하는 경우에는 젖양이 필연적으로 줄게 돼있어요.
출근하기 전에, 퇴근하고 와서 아기에게 젖을 물리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유축해서 먹이는 엄마들은 밤중수유를 유지하셔야 젖양이 줄지 않습니다.
너무 피곤한 경우에는 엄마랑 아기가 같이 자면서 누워서 젖을 물리면
두 사람이 다 완전히 깨지 않는 가수면 상태에서 밤중수유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백일 이전의 아기는 아직 장기가 다 자리잡지 않은 상태이므로
푹신한 어른 침대에서 자는 것이 좋지 않으니까 바닥에 이불을 펴고 주무시는게 좋아요.
그리고 아기와 같이 자는 경우에는 엄마가 잠들어서 아기를 누르지 않도록 꼭 주의하시구요.
Q. 밤중수유를 하는 동안은 자연피임이 된다는데 정말인가요?
A.
통상적으로는 낮에 4시간 밤에 6시간 동안 수유가 없으면 생리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밤중수유를 계속 하면 생후 6개월 까지는 자연피임이 될 확률이 98%라고 하죠.
하지만 이 부분은 사람마다 다 다릅니다.
밤중수유를 계속 하더라도 월경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란이 될 가능성도 있으니
아직 계획이 없는 분들은 꼭 피임을 하셔야 합니다.
Q. 밤중수유는 언제 끊는게 정답인가요?
A.
밤중수유는 젖뗄 때 까지, 아기가 원할 때 까지 계속 하세요.
다만 월령이 높아지면서도 깨는 횟수가 너무 잦을때에는
자다 깨면 무조건 젖을 물리기 보다는 다독거려서 잠들 수 있게 달래보시기 바랍니다.
아기를 울려가며 배 곯려가며 끊으려고 하지 마세요.
어른도 배고프면 잠이 안오는데 아기는 오죽 하겠습니까.
다 아기 몸이 필요로 해서 젖을 찾는것이니까 엄마가 인위적으로 조절하려고 하지 마세요.
엄마가 푹 자지 못해서 피곤한 걸 제외하면 밤중수유는 전혀 해가 되지 않습니다.